외상성 뇌손상 감각 변화 알아볼까요?

감각 변화
가벼운 접촉, 통각(핀 찌르기), 온도감각, 고유수용감각, 운동감각, 진동감각의 손상과 또한 입체인지, 두 점 구별, 서화감각도 손상된다. 뇌신경의 손상으로 미각, 후각, 얼굴감각의 장애는 뇌신경손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연하장애 및 식사의 문제
뇌신경의 손상으로 연하장애를 보일 수 있다.
[관련글] 삼킴장애 : 정상삼킴단계 5단계
[관련글] 삼킴장애 : 정상삼킴단계 인두단계 Pharyngeal phase
언어 또는 의사소통 장애
언어장애 또는 실어증은 언어의 이해와 표현의 손상을 포함한다.
시지각 및 지각기능 장애
뇌손상 후 지각기능의 장애는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환자의 손상정도와 회복 단계에 따라 다르다. 눈모음 장애, 사시, 안구진탕증, 반맹증, 시각탐색과 추적의 손실과 순간적 눈 움직임 등이 나타난다. 지각장애는 주로 우측 대뇌반구 손상에서 발생한다. 지각장애로 주로 실인증, 시공간지각장애, 신체도식장애, 실행증 등이 나타난다.

인지기능 장애
집중력의 감소, 기억 손상, 활동의 개시.종료의 결여, 안전의식의 감소, 판단력 부족, 충동성, 실행기능과 추상적 사고와 일반화의 장애, 그리고 의사소통 장애를 포함.
① 집중력의 감소
오랜 기간 집중하는 능력으로 환자는 대화하던 도중에 주변의 다른 사람들 대화를 듣고 자신의 말에 그 대화의 문구가 섞이게 된다.
② 기억손상
기억 손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자주 관찰되는 인지장애이며, 방금 들은 수개의 단어들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어제 저녁에 누가 환자를 방문했는지 기억하지 못하거나 손상되기 수년 전에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중등도-중증 뇌손상 환자들은 계속하여 단기기억 손상을 보인다.
③ 활동 개시와 종료의 손상
활동 개시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구조화되고 도움을 제공하는 재활 환경에서는 개시를 잘하지만 퇴원 후 집에서 일상생활을 완수하는데 홀로 남겨져 있을 경우 퇴보한다. 활동을 종료하는데도 어려움을 보이며, 고집중(perseveration, 보속증, 이상언행반복증)이 발달한다.
[관련글] 인지 란? Cognition : 인지재활 Cognitive Rehabilitation
④ 안전의식의 감소와 판단력 부족
이마엽이 손상될 경우 환자는 동작 전에 결과를 고려하는 능력이나 자신에 관한 질병인식의 장애와 충동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안전의식의 감소와 판단력 부족의 원인이 된다. 예로, 환자는 휠체어의 브레이크를 잠그고 발판을 제거하지 않고 일어나거나 보호 장갑을 사용하지 않고 스토브나 오븐에서 그릇을 꺼낼 수 있다. 정보처리가 지연되며, 외부 정보의 처리에 어느 정도 어려움을 가지며 반응시간이 지연된다.
⑥ 실행기능과 추상적 사고의 장애
실행기능의 장애가 있을 경우 환자는 행동을 계획하고, 묵표를 설정하고, 행동의 결과를 이해하고, 환경에 반응하여 행동을 수정하지 못한다. 추상적 사고의 장애나 구체적 사고를 보일 경우 환자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만 정보를 해석한다.
⑦ 일반화 능력의 손상
특정 활동에 대해 학습한 능력과 기술을 유사한 활동에 전이하는 능력으로 실행기능, 추상적 사고, 단기 기억의 장애가 있을 떄 손상될 수 있다. 예로, 환자가 자신의 거주시설에서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방법을 다른 환경에서 익숙하지 않는 세탁기를 사용하지 못한다.

심리사회적 및 행동장애
뇌손상은 흥분성, 공격성, 무감동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 변화를 가져온다.
① 자아개념의 변화
자아개념은 사람이 가족, 동료,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 성적 정체성, 신체상, 개인적 감정과 약점, 위치 등에 관해 갖고 있는 내적 이미지로 뇌손상 이후 크게 변한다. 단기기억은 손상되어도 장기기억은 갖고 있다는 것이다. 손상 후 자아개념을 재설정 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② 독립적 생활의 상실
신체, 인지, 심리사회적 능력의 감소로 인해 요양시설이나 보호자와 함께 살게 되며, 지역사회에서 독립적 생활의 상실은 의존감을 높이고 자조생활을 저하시킨다.
③ 사회적 역할의 상실
환자는 사회적 역할의 상실과 자아개념의 변화로 인해 우울증, 회피, 무관심을 보일 수 있다.
④ 감정적 변화
신경학적손상으로 인해 우울증, 감정불안정의 증가, 정서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좌측 대뇌반구 손상 환자는 우울증과 감정불안정의 증가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우측 대뇌반구 손상 환자는 다행증(euphoria)이나 손상의 심각성에 대한 감정적 대응의 결여를 나타낸다.
⑤ 행동장애
많은 행동적 문제는 인지지각 장애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집중력의 감소, 기억 손상, 의사소통의 장애, 지각장애 등은 행동장애를 이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는 충동적 행동, 부적절하고 통합적이지 못한 행동, 무관심, 자발성의 결여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